연혁
설립취지
- 첫째, 국정지표 실현을 위한 지방문화 기반 확충 및 국악의 종합전당 마련
- 둘째, 국악의 보급 연수장 확보 및 국악전문인 · 후계자 양성
- 셋째, 국악연구의 저변확대
- 넷째, 지역단위의 필수적 문화의 산실 확보
- 2020's
-
-
2022. 04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증개축사업에 따라 도립국악원 본원 전통문화체험전수관으로 임시 이전 -
2022. 03
국악원 운영조례 및 시행규칙 개정(명예퇴직제도 도입) -
2021. 07
국악원 운영조례 시행규칙 개정(예술단 근무시간 등) -
2021. 07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증개축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착수 -
2021. 06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증개축사업 건축설계공모 당선작 선정 -
2020. 12
관현악단 전통문화체험전수관 입주 -
2020. 06
전통문화체험전수관(송천동1가 243-2) 준공
-
- 2010's
-
-
2018. 11
전통문화체험전수관 착공 (2019. 4. 17 안전기원제) -
06
국악원 운영조례 시행규칙 개정(일반단원 승급제한 불합리 해소)
-입단 3년차 단원 9급→8급 승진임용(13명) -
03
국악원 운영조례 개정(비정규직→정규직 전환 등, / 05. 01 시간강사→ 상임단원 임용 4명) -
2017. 12
자료실 자료전산화 완료(도서 2,678권, 음반 1,517매, 영상 1,034개) -
06
전통문화 체험·전수관 건립(안) 기본 및 실시설계 계약
순창군 청소년 “무지개 국악오케스트라” 창단공연 (순창군 청소년수련장) -
2016. 12
전북의 전통예인 구술사 19(황병근), 20(이인수), 21(김숙) 편 발간 -
2014. 06
전주대사습놀이 복원 40주년 기획초청공연 "시대를 놀자" (한옥마을)
-
- 2000's
-
-
2009. 12
제50기 연수생 발표회 및 수료식 (전북예술회관) -
10
「국악원 활성화 및 발전방향」을 위한 세미나 개최 (한국소리문화의 전당 국제회의장) -
10
국악원 제도개선위원회 개최(원장실) -
2006. 10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20년사『전통, 그 미래를 열다』발간 -
2003. 03
노사 단체협약서 체결 -
2001. 12
예술단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 입주 -
08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노동조합 설립
-
- 1990's
-
-
1999. 12
영·일·중어판 홍보물 "한국전통예술여행" 발간 -
11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홈페이지 개설 -
09
도립국악원 연수생 중심 "도립국악원 예술봉사단" 결성 및 위문공연 활동 -
06
학예연구실 전래동요 『잠자리꽁꽁』테이프 발매(도교육청 유아장학자료개발) -
05
도립국악원 학예연구실 부설 자료실 개관(도서 922권/CD음반 98종/LP음반 61종/비디오72종 -
05
영부인 이희호여사 도립국악원 방문 (김대중대통령 전북특별자치도 방문 수행) -
1998. 08
국악기개량사업 종합보고서 『국악기개량사업의 성과와 의의』발간 -
07
예술단 송천동(구잠업사업소) 분원으로 이주 -
02
국악교육 개혁을 위한 <교육개혁추진단> 결성(원장을 포함한 12명의 추진위) -
1994. 12
<전북특별자치도 토속민요> CD음반 제작 -
12
국악교재총서 『농악』발간 -
12
국악교재총서 『가야금교본』발간(연구단) -
1990. 12
제1회 교수음악회(전북예술회관) -
06
청소년을 위한 국악교실(전주ㆍ군산ㆍ익산) 시작
-
- 1980's
-
-
1988. 10
전북특별자치도립 국악단 창단. 단원 35명(수석/심인택, 기악 27명, 판소리 5명, 무용 3명) -
1986. 08
제1기 도립국악원 수강생 모집(모집인원 350명) -
07
황병근 초대 원장 부임 -
06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설치 조례 공포 -
1985. 10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준공 -
01
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기공식 -
1984. 00
문예진흥기금 5억, 도비 4억 6천 확정
-